Lesson 2 - F5를 활용한 네트워크 구성 (Processing Traffic)

2021. 7. 15. 17:33·기타/인턴활동
728x90
반응형

Processing Traffic 환경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Pool과 Virtual Server를 만들어야 합니다.

 

Task 1 - Pool 환경 구성

 

1) 10.1.1.245에 접속 후 Local Traffic > Pools > Pool List page의 Create를 눌러줍니다.

Pool에 접속하여 환경을 구성하는 장면

 

2) Name: http_pool로 설정 후 10.1.20.11~13까지 Service Port 80 번호로 추가 후 Finished를 눌러줍니다.

(설정이 안 된다면 Node Name에서 http_pool을 빼고 진행하시면 됩니다.)

Pool을 설정 중인 모습

 

3) 해당 설정이 완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설정 완료된 모습

 


 

Task 2 - Virtual Server 환경을 새로 구성해 줘야 합니다.

 

1) Local Traffic > Virtual Servers > Virtual Server List에서 Create를 눌러줍니다.

Virtual Server 환경 구성 장면

 

2) Name: http_virtual, Destination Address: 10.1.10.20, Service Port: 80, Default Pool은 http_pool(Task1에서 설정했던것)을 설정해줍니다.

Name, Destination Address, Service Port를 설정해 줍니다.
Default Pool은 http_pool로 설정해줍니다.

 

4) List에서 http_virtual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http_virtual을 확인

 


 

Task 3 - Virtual Server와 Pool 환경 기능 확인 

 

1) The children pool members are down으로 virtual server에 접속이 불가합니다.

 

2) Input 값은 있으나 output값을 브라우저가 출력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3) 가용성 및 Health Check 시  둘 다 빨간 상태로 표시되고 있습니다.

 

4) External IP 확인 후 재설정을 통해서 접속

 

5) 접속 완료(로드 밸런스를 나타냅니다.)

Node #1로 접속한 모습

 

Node #2로 접속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결론-1) Traffic 량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F5 새로고침 전 Traffice량

 

결론-2) 새로 고침 후 각 각의 Traffic 분산량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새로 고침 후 Traffic량 


Task 4 - 가상 서버 SNAT 설정 수정

 

1) Local Traffice > Virtual Servers > Virtual Server List 에서 http_virtual 선택

2) Source Address Traslation을 선택하여 Auto Map 으로 변경

Auto Map으로 변경

 

3-1) None으로 체크했을 시

None 설정

 

3-2) Auto Map으로 설정 시

Auto Map으로 설정 시

 

결론 :

 

SNAT Automap을 구성하지 않으면 Pool Member는 클라이언트의 실제 IP 주소를 소스 IP 주소로 인식합니다.

SNAT Automap을 구성한 경우 Pool Member는 BIG-IP 시스템의 내부 자체 IP 주소를 소스 IP 주소로 인식합니다.

 

Task 5 - TMSH를 사용하여 기본 Pool 및 Virtual Server 생성

 

1) Command를 복사하여 붙여 넣었으나 설명란 문법 오류로 실행 불가했습니다.

728x90
반응형

'기타 > 인턴활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Lesson 5 - Health Monitors 실습  (0) 2021.07.20
Lesson 3 - F5 를 활용한 Virtual Serevers 실습  (0) 2021.07.19
Lesson 1 - F5를 활용한 네트워크 토폴로지 기본 구성 및 외부 접속  (0) 2021.07.15
ARP통신/mac통신/Router 통신  (0) 2021.06.29
네트워크 기초 교육 - 4주차(UDP, TCP , 3Way Handshake, SLB)  (0) 2021.06.24
'기타/인턴활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 Lesson 5 - Health Monitors 실습
  • Lesson 3 - F5 를 활용한 Virtual Serevers 실습
  • Lesson 1 - F5를 활용한 네트워크 토폴로지 기본 구성 및 외부 접속
  • ARP통신/mac통신/Router 통신
Royal!
Royal!
Bachelor of Arts. Bachelor of Science in Engineering. Master of Science in Engineering (In Progress). Job Title: Infrastructure & Security & Cloud Engineer. Etc: Mentor at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enter.
  • Royal!
    Security
    Royal!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N
      • 운영체제
      • 네트워크 N
      • 클라우드
      • 서버
      • Container
      • 프로그래밍
        • Python_혼자 끄적끄적
        • Python_AI(영상처리)
        • 빅데이터
        • C_정보올림피아드 Language_Coder
        • C_QnA
      • 자격증
        • 정보보안기사
        • 정보처리기사
        • ADsP
        • CPPG
        • 보안법률
        • NCA~NCP
        • AWS Certified Solutions Arc..
      • 리버싱
        • 리버싱 걸음마
      • Wargame & CTF
        • Hackerschool FTZ
      • 기타 교육
        • KISA 정보보호제품실습군
        • 빅데이터_분석실무
        • 시큐어코딩진단전문교육(호남정보보호센터)
        • SW테스트 전문가 과정(ISTQB CTFL자격)
        • 정보보호 컨설팅 전문가 양성과정
      • 기타
        • 면접일지
        • 기타
        • 인턴활동
        • 논문 요약
      • K-Shield Jr
        • 악성코드분석
        • 침해사고분석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링크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euid가 중요한 이유
    304 code
    네이버클라우드 ftp 설정
    스위치 프레임 포워딩 방식
    l2 스위치 프레임 전달 방식
    swtich frame
    rest api 문법
    rest api 제약조건
    rest api 공부
    switch forwarding mode
    getuid
    euid란
    nce dump
    304코드
    restful api 개념
    rest api 논문
    kernel 구성요소
    상태코드 304
    kernel모드
    uid란
    redirect 304
    nce덤프
    getuid()
    geteuid()
    kernel 사용자 모드
    geteuid
    rest api 정리
    fragment-free
    스위치 프레임 동작 방식
    rest api 아키텍처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Royal!
Lesson 2 - F5를 활용한 네트워크 구성 (Processing Traffic)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